애견인으로 알려진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개고기 식용 문제를 두고 명쾌한 답변을 내놓지 못하자
당내 경쟁자인 장성민 전 의원으로부터 비판이 나왔다.
윤 전 총장은 12일 경선 예비후보들의 인간적 면모를 부각하기 위해
당이 마련한 '올데이 라방'(라이브방송) 토크쇼에 나와
반려동물에 관한 얘기도 나눴다.
윤 전 총장은 유기견 센터에서 입양한 '토리' 등
반려견 4마리와 반려묘 3마리를 키우게 된 계기를 짧게 소개했다.
이어 윤 전 총장은 '동물들을 선거 운동에 활용할 생각이 있냐'는 질문에
"우리 강아지, 고양이도 다 저희 가족이니까 아빠가 선거 운동하니까 같이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답했다.
또 윤 전 총장은 "만약 청와대로 들어가면 5년 동안 바빠서 못 돌보는 거 아니냐"는 추가 질문에
"저희 처(김건희 씨)가 보겠죠"라면서도
"저도 근데 워낙 (동물들을) 좋아해서 사는 공간에 같이 있기 때문에,
저녁에 관저에 들어가게 된다면 거기서 왔다갔다 할테니 같이 지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물을 처음 키우게 된 계기에 대해
그는 "저희 아버지가 개를 좋아하셨다. 제 기억에 2~3살 때 집에 개가 있었고,
저희 처도 아주 어릴 때부터 개를 키웠다"고 밝혔다.
이날 패널로 나온 서민 교수는
"애견인들의 숙원"이라는 설명과 함께
'개고기 식용 문제' 관련 공약을 추가로 물었다.
그런데 윤 전 총장은
"다른 사람의 선택과 관련한 문제라 제가 함부로 말하기는…"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하지만 지난 4일 중앙일보에
"현재 대한수의사회와 함께 반려동물 관련 정책을 논의하고 있다"는
윤 전 총장 캠프의 언급까지 감안하면
윤 전 총장의 이날 답변이
그간 '토리 아빠'의 면모를 부각해왔던 모습과
온도차가 있다는 지적을 피하기가 어렵게 됐다.
당장 이 발언에 대해
같은 당 내 대선 경선후보인 장성민 전 의원으로부터
견제의 목소리가 나왔다.
장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것이 과연 진정한 애견인으로서 할 말인지 되묻게 된다"고 비판했다.
장 전 의원은 "애견인의 한 사람으로서 개고기 식용은 단호히 반대한다"면서
"선진 문명국으로 진입하는 문화대국에서
애견인이 개고기 식용을 반대하지 않고
선택의 문제로 남기겠다는 말은 애견인이 할 말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091217300464409
같은 애견인, 반려인으로서
해당 뉴스는 참 말문을 막히게 하네요.
'복' 시즌만 다가오면
한국 사회에서는 개고기 식용 문화는 항상 뜨거운 논쟁거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과거 개고기는 더위를 쫓고 몸보신을 위한 음식으로 여겨졌지만,
반려인구 1500만 시대를 맞은 이제는
개는 식용이 아닌 가족 같은 존재라는 인식이 더 큰 상황입니다.
이같은 개고기 식용 찬반 논쟁은 매년 지속됨에도
해묵은 논쟁의 실타래를 풀 수 있는 법률도 명확하지 않아
논란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을 하고 있는데요.
한국인도 개고기 안 먹는다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
우리나라의 개 식용 문화는 오랜 기간 이어져왔습니다.
사람의 신체와 구성 성분이 비슷한 개고기를 먹으면
외상이 빨리 낫는다는 속설,
정력에 좋다거나 영양분이 다른 고기에 비해 뛰어나다는 속설 등으로 인해
굉장히 옛날부터 몸보신용으로 찾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1500만 반려문화 시대에서
‘개’라는 동물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진 상황이죠.
단순히 가축이 아닌 반려가족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해묵은 주제인 개 식용 문제는 더욱 민감한 사회적 문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 설문조사에서는
한국 국민 80% 이상이 개고기를 먹어본 적 없고,
앞으로도 먹을 의사가 없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동물보호단체 휴메인 소사이어티 인터내셔널이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개고기를 소비한 적 없거나 향후에도 소비할 의사가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83.8%입니다.
또한 58.6%는 개고기 식용 금지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7년 HIS 내부 조사 결과와 비교해 23.9%포인트 증가한 수치인데요.
개고기 소비 문화가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만든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절반 이상인 57%로 집계됐습니다.
개를 식용이 아닌 반려동물로 인식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그 반려동물이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은 데 따른 영향이라 생각할 수 있겠네요.
생명존중 사회로 전진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 개 식용 문화가
몇 달, 몇 해에 걸쳐 단기간에 걸쳐 자리잡은 것이 아니란 점,
관련 음식점을 하는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의 생계 유지 등을 고려하면
개고기 식용을 당장 강제적으로 금지할 수도 없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가축이 아닌 반려동물, 가족으로 생각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개고기 식용은 야만적인 일, 혐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죠.
나아가 저는 부끄러운 문화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개고기 식용 찬성론자들은 애완견이 아닌 따로 사육된 식용개를 먹는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식용견과 반려견이라는 구분 기준은 사람들의 몫일 뿐이죠.
한 가정에서 가족처럼 여기며 키웠던 개를
이웃집에서는 식용으로 여기고 도살해 먹어버리는 경악스러운 사건,
식용견으로 길러졌다가 구조돼
사랑받는 반려견으로 살아가는 개들의 소식을 접할 때면
식용견과 반려견의 그 경계선은 매우 모호하고 구분 짓는 것도 타당하지 않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현행법에서는 개를 가축의 범주에 두면서
또 아니라는 애매한 기준을 두고 있다는 것인데요.
소, 돼지, 닭처럼 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가축으로 분류될 경우
사육과 도축, 유통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축으로 분류되지 않으면 식용으로 유통될 수 없고 동물보호법 보호를 받습니다.
개는 축산업 발전과 축산물의 안정적 공급이 목적인 축산법에서 가축에 포함돼 있지만,
이는 식용 가축의 규정은 아니라는 것.
또 가축 사육 및 도살, 축산물 가공·유통 규칙을 정하는 축산물 위생관리법에서는
개를 가축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
누군가에겐 보호하고 지켜줘야 할 가족이,
누군가에겐 단순한 식재료가 되는 이중적 잣대는
오랜 기간 찬반을 주장하는 양측의 골을 깊게 하고 있는 건 아닐지
다시 한 번 깊게 생각해 봐야 합니다.
즉, 개식용을 둘러싼 혼란을 방지하고 매년 끊이지 않는 논쟁의 매듭을 짓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한 명확한 법률적 규정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모든 동물들은 생명을 존중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그 누구도 다른 누군가의 생명을
'선택'할 권리는 없습니다.
'반려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형견 물어죽인 맹견 주인… 재판부 권고에 "입양 보내겠다" (0) | 2021.09.17 |
---|---|
댕냥이들의 명절 증후군, 이렇게 대비하세요! (0) | 2021.09.15 |
엘리베이터 문에 매달린 개 '발버둥'…주민 도움으로 '구조' (0) | 2021.09.10 |
길에서 쓰러진 할머니 지킨 백구, 전국 최초 명예 구조견 됐다 (0) | 2021.09.08 |
"반려동물 떠나 보낸 슬픔, 함께 나눠요" ... 서초 펫로스 모임 '서리풀 무지개모임' 운영 (0) | 2021.09.06 |
댓글